2024 기준 중위소득 총정리
중위소득은 복지 사업 대상자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기초생활보장제도는 기준 중위소득의 30% 이하인 가구를 대상으로 지원합니다. 따라서 중위소득이 상승하면 기준 중위소득 30% 이하의 가구 수가 증가하게 되어, 더 많은 가구가 기초생활보장제도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매년 8월경에 다음년도 적용 기준 중위소득을 보건복지부에서 결정하여 고시합니다.
구분 |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7인 가구 | 8인 가구 |
기준 중위소득 (32%) 생계급여 |
713,102 | 1,178,435 | 1,508,690 | 1,833,572 | 2,142,635 | 2,437,878 | ||
기준 중위소득 (40%) 의료급여 |
891,378 | 1,473,044 | 1,885,863 | 2,291,965 | 2,678,294 | 3,047,348 | ||
기준 중위소득 (48%) 주거급여 |
1,069,654 | 1,767,652 | 2,263,035 | 2,750,358 | 3,213,953 | 3,656,817 | ||
기준 중위소득 (50%) 교육급여 |
1,114,223 | 1,841,305 | 2,357,329 | 2,864,957 | 3,347,868 | 3,809,185 | ||
기준 중위소득 (60%) |
1,337,067 | 2,209,565 | 2,828,794 | 3,437,948 | 4,017,441 | 4,571,021 | 5,108,996 | 5,646,971 |
기준 중위소득 (100%) |
2,228,445 | 3,682,609 | 4,714,657 | 5,729,913 | 6,695,735 | 7,618,369 | 8,514,994 | 9,411,619 |
기준 중위소득 (120%) |
2,674,134 | 4,419,131 | 5,657,588 | 6,875,896 | 8,034,882 | 9,142,043 | 10,217,993 | 11,293,943 |
☑️ 기준중위소득이란?
기준중위소득은 대한민국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순위를 매기어 정확히 가운데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기준중위소득은 매년 보건복지부 장관이 고시하며, 기초생활보장, 주거급여, 아동수당 등 다양한 복지 급여의 선정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 기준중위소득의 결정 방법
기준중위소득은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자료의 가구 소득을 바탕으로 산출됩니다. 가계동향조사 자료는 가구원 수, 주택 형태, 지역 등을 고려하여 산출되므로, 기준중위소득은 이러한 요소들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 기준중위소득의 활용
기준중위소득은 복지 급여의 선정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기초생활보장제도는 기준 중위소득의 30% 이하인 가구를 대상으로 지원합니다. 따라서 기준중위소득이 상승하면 기준 중위소득 30% 이하의 가구 수가 증가하게 되어, 더 많은 가구가 기초생활보장제도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 기준중위소득의 의미
기준중위소득은 국민의 소득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기준중위소득이 상승하면 국민의 평균 소득 수준이 상승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기준중위소득은 복지 정책의 효과를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기준중위소득을 기준으로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수급자 수를 분석하면, 복지 정책의 효과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기준중위소득의 전망
기준중위소득은 매년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경제 성장과 물가 상승에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향후에도 기준중위소득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