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 직업

에너지 관리 기능사 총정리: 출제기준, 수행직무, 진로, 전망, 합격률

by KlayLee 2023. 12. 17.

에너지 관리 기능사 총정리

썸네일
에너지 관리 기능사

에너지 관리기능사는 건축물 및 산업용 보일러와 부대설비의 운영을 위하여 기기의 설치, 배관, 용접 등의 작업과 보일러 연료와 열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관리, 운전, 정비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입니다.

에너지 관리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건축물 에너지 관리업, 산업용 보일러 설치 및 유지관리업 등 관련 업종에 취업할 수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공무원이나 기술직으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그럼 상세하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에너지 관리 기능사란?

2️⃣ 출제기준

3️⃣ 수수료

4️⃣ 취득방법

5️⃣ 실기시험 기본정보

6️⃣ 수행직무

7️⃣ 진로 및 전망

8️⃣ 합격률

9️⃣ 일자리 정보


1️⃣ 에너지 관리 기능사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활동은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집니다. 이에 따라 보일러 설치, 시공, 운전, 유지관리 등에 필요한 작업이 수행됩니다


2️⃣ 출제기준

아래 첨부내용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23년 ~25년 출제 기준입니다.

 

에너지관리기능사 출제기준(2023.1.1.∼2025.12.31.).hwp
0.08MB

 


3️⃣ 수수료

- 필기: 14,500원

- 실기: 56,700원


4️⃣ 취득방법

  1. 시행처: 한국산업인력공단
  2. 관련 학과: 실업계 고등학교 및 전문대학의 기계공학 또는 화학공학 관련학과
  3. 시험과목:
    • 필기: 열설비 설치, 운전 및 관리
    • 실기: 열설비취급실무
  4. 검정방법:
    • 필기: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 (60분)
    • 실기: 작업형[적산+종합응용배관작업] (약 3시간)
  5. 합격기준: 필기·실기 모두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5️⃣ 실기시험 기본정보

☑️ 안전등급(Safety Level): 3 등급

  • 시험장소 구분: 실내
  • 주요시설 및 장비: 용접기, 동력나사절삭기
  • 보호구: 안전화, 보안경 등

☑️ 주의사항 및 채점 대상

  • 보호구(작업복 등) 착용
  • 정리정돈 상태
  • 안전사항 준수

☑️ 참고

  • 채점 시에는 수험자가 보호구를 올바르게 착용하고 있는지, 작업장이 정리정돈되어 있는지, 안전사항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 수험자는 시험 전에 수험자 지참공구 목록을 확인하여 필요한 도구들을 지참해야 합니다.

6️⃣ 수행직무

보일러 및 부대설비 운영 및 유지관리 전문가

  1. 작업 및 업무 내용:
    • 기기의 설치, 배관, 용접 작업 수행
    • 보일러 연료 및 열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관리, 운전, 정비 업무 수행
  2. 기술 및 역량:
    • 난방 및 급탕부하 파악 및 보일러 용량 계산 능력
    • 보일러 시공도면 해독 및 작성 능력
    • 보일러 설치 시 필요한 공구 및 장비 활용하여 시공 가능
    • 보일러 부속장치 설치 및 정비 능력
    • 보일러 및 부속설비 구조 이해 및 운전, 관리 능력
    • 고장 파악 및 정비, 취급 가능
    • 취급 시 안전조치 이행 능력
  3. 전문 역할:
    • 난방 및 급탕부하 관리 및 최적 운영 담당
    • 시공도면을 기반으로 보일러 설치 계획 및 실행
    • 부속설비의 안전한 설치 및 정비 담당
    • 보일러 및 부속설비의 운전, 고장 발생 시 정비 및 취급 담당
  4. 안전조치:
    • 취급 시 안전한 절차와 규정 준수
    • 고장 시 안전 조치 및 정비 수행

7️⃣ 진로 및 전망

  1. 입직 경로:
    • 전문대학, 공업계 고등학교, 직업훈련기관에서 소방설비, 냉난방관리, 보일러시공, 산업설비 등을 전공.
    • 관련 자격을 취득한 후 건물설비관리업체, 생산관리업체 등에 취업 가능.
    • 숙련기능공의 보조원으로 일하며 현장 경력을 쌓은 후, 기능공으로 전환 가능.
  2. 전문 분야 및 자격:
    • 소방설비, 냉난방관리, 보일러시공, 산업설비 등 관련 분야 전문 공부 및 자격 취득.
    • 건축설비학과 등 건물 설비 관련 분야 대학 전공도 가능.
  3. 진로 전망:
    • 건물전문 관리업체에서 감독자, 관리자로 승진 가능.
    • 보일러분야, 공조냉동설비분야 등에서 창업 기회가 열릴 수 있음.
    • 대규모 빌딩의 준간관리자로 활동할 수 있는 기회 제공.
  4. 진출 가능한 분야:
    • 건물설비관리업체, 생산관리업체 등에서 운영, 유지보수 업무 담당.
    • 감독자, 관리자로 승진하여 팀을 이끄는 역할 수행.
    • 보일러분야, 공조냉동설비분야 등에서 창업하여 자영업 가능.
  5. 전문 대학 전공자의 경우:
    • 대규모 빌딩의 준간관리자로 진출 가능.
    • 대규모 프로젝트의 설비 기획, 관리에 참여할 수 있음.

종합적으로, 건물설비 분야에서는 다양한 경로와 진로 전망이 열려


8️⃣ 합격률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2 7,554 3,349 44.30% 4,401 2,647 60.10%
2021 8,854 4,220 47.70% 5,531 3,590 64.90%
2020 8,013 4,037 50.40% 5,175 2,582 49.90%
2019 9,796 4,643 47.40% 5,692 2,907 51.10%
2018 9,217 4,354 47.20% 5,236 2,912 55.60%
2017 8,679 4,232 48.80% 5,077 2,629 51.80%
2016 9,283 4,208 45.30% 4,958 2,854 57.60%
2015 9,184 3,490 38% 4,773 2,563 53.70%
2014 8,507 3,193 37.50% 4,317 2,303 53.30%
2013 8,682 3,701 42.60% 4,593 2,285 49.70%
2012 8,741 2,232 25.50% 2,803 1,164 41.50%
소 계 96,510 41,659 43.20% 52,556 28,436 54.10%

9️⃣ 일자리 정보

Q-NET(한국산업인력공단)에 들어가면 상세한 일자리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