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례의 모든 것

장례식 비용 총정리

by KlayLee 2023. 10. 2.

🌷장례식 비용에 대한 이해와 절약 방법 🕊️

장례식은 가족과 친구를 위한 마음을 담은 행사이지만, 비용 부담이 큰 경우도 있습니다. 평균 장례비용은 조문객 100명 기준 850~1500만원 정도가 발생합니다. 이 금액은 장지비용은 별도입니다. 이 글에서는 장례식 비용의 주요 부분을 살펴보고, 이를 절약하는 방법을 고민해 보세요. 고인의 마지막길을 잘 보내드리는게 후손의 역할이지만 꼭 최고만을 해 드리는게 능사는 아닌 것 같습니다. 형편에 맞게 합리적으로 장례를 치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마 고인도 바라시는 것이 제일 비싼 장례식이 아닌 고인에 대한 기억과 남은 자손들간의 우애와 행복을 원하실겁니다. 😢

장례식 비용

목차

1) 상조회사 비용

2) 장례식장 비용

3) 장지 비용


1) 상조회사 비용💰

장례 비용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 중 하나는 상조회사입니다. 상조 계획을 세울 때, 다양한 옵션이 있으며, 가격도 다릅니다. 상조회사 비용은 빈소의 유무, 조문객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통상적인 기준이기 때문에 장례비용 산정시 참고하세요. 

구분 인원 차량 용품
무빈소
150만원 내외
장례지도사 (2명)
접객도우미 (0명)
다음중 택1 (버스/리무진) 용품제공
가족장
250만원 내외
장례지도사 (2명)
접객도우미 (1명)
다음중 택1 (버스/리무진) 100명 이하 용품 제공
일반장
350만원 내외
장례지도사 (2명)
접객도우미 (2명)
버스/리무진 모두 제공 100명 이상 용품 제공

2) 장례식장 비용 🏠

장례식장을 선택할 때도 비용이 큰 고려 요소입니다. 장례식장의 비용은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장례식장 구분 비용
공설 장례식장 280만원 내외
전문 장례식장 370만원 내외
대학병원 장례식장 430만원 내외

일반적으로 대학병원 장례식장의 사용료가 가장 비싸고 전문 장례식장, 공설 장례식장 순서입니다.

 

☑️ 시설

   📌 빈소 대여료

   📌 안치실 대여료

   📌 입관실 대여료

 

☑️ 음식

    📌조문객 접대 음식 비용

         💡1인 평균 2~3만원

         💡보통 30~50인분 사이의 기본 상차림이 필수이고, 음식이 부족할 때마다 추가주문하는 방식입니다.

    📌제수 음식 비용 (*천주교와 기독교의 경우 제례를 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발생하지 않음)

         💡초물상, 성복제, 발인제, 상식등으로 구성되며 평균비용은 20~30만원 사이입니다.

 

☑️ 장례용품

    📌제단 꽃

         💡40~100만원 사이입니다. (장례식장에서 제시하는 제단 꽃만 선택 가능합니다.)

    📌영정 사진

    📌상복의 제작 또는 대여료 (보통 대여를 많이 합니다.)


3) 장지 비용 ⚰️

장례식이 끝나면 묘지 비용도 고려되어야 합니다. 묘지 선정 시 위치와 비용을 고려하며, 미리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지는 크게 1차 장지(화장)와 2차 장지(묘지)로 구분합니다.

 

☑️ 1차 장지 (화장)

고인의 주소지(6개월 이상 거주)를 기준으로 관내와 관외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관내 (5~12만원)

    📌관외 (50~100만원)

 

☑️ 2차 장지 (고인을 안치하는 시설)

장묘 방법을 화장으로 할 것인지 매장으로 할 것인지에 따라 종류가 다양합니다.

 

    📌화장을 선택할 경우

          💡유골함(봉안함)

          💡안치비용

          💡관리비용

 

    📌매장을 선택할 경우

          💡봉분 공사 (포크레인, 인건비 ...)

          💡석물 공사 (비석, 석등...) 

          💡잔디 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