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말정산

맞벌이 부부 연말정산 절세방법 총정리

by KlayLee 2023. 11. 25.

맞벌이 부부 연말정산 절세방법 총정리

맞벌이 부부 연말정산 전략

 연말정산의 시기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생각보다 맞벌이 부부들의 연말정산 가이드가 많지 않은 것 같아 준비해 보았습니다. 전략적으로 연말정산을 준비하면 생각보다 큰 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기 때문에 아래 내용 꼼꼼히 확인해 보세요.



목차

1️⃣ 인적공제 전략

2️⃣ 신용카드 전략

3️⃣ 보험료 전략

4️⃣ 의료비 전략

5️⃣ 교육비 전략


 

1️⃣ 인적공제 전략

맞벌이 부부는 자녀 및 부모의 인적공제를 활용하여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가족의 인적공제를 최대한 활용하며 정확한 신고가 필요합니다.

 

 

☑️ 맞벌이 가구 인적공제 전략


1) 맞벌이 2인가구 인적공제

    📌 총급여 500만원 초과 시 서로에 대한 기본공제 불가.
    📌 직계존속(장인, 장모, 시부모)가 있는 경우 기본 및 추가공제 가능.
    📌 직계존속의 연령과 소득 확인 후 근로소득공제율 구간에서 혜택이 많은 사람에게 부양가족으로 등록.

 

2) 맞벌이 3인가구 인적공제

    📌 2인가구와 동일 조건 적용.
    📌 1인의 20세 이하 자녀가 있는 경우, 근로소득공제율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구간에 해당하는 배우자에게 부양가족 등록.

 

3) 맞벌이 4인가구 인적공제

    📌 20세 이하 자녀가 2인 이상인 경우, 각각의 기본공제대상자로 적용 가능.
    📌 자녀 수에 따라 세액공제 적용:
        💡 자녀 1명: 연 15만원
        💡 자녀 2명: 연 30만원
        💡 자녀 3명 이상: 연 30만원 + 2명 초과하는 1명당 연 30만원 (총 자녀 수에서 2명을 뺀 만큼 적용)

 

☑️ 맞벌이 부부의 소득공제 전략


    📌 목표는 근로소득공제율을 낮추는 것.
    📌 소득공제 전략: 근로소득공제율을 한 단계라도 낮추기.
    📌 세액공제 전략: 자녀 수에 따라 추가로 세액공제를 받아 종합소득산출세액을 낮춤.

 

☑️  전략의 중요성


맞벌이 부부는 소득 및 가족 상황에 따라 다양한 전략을 활용해 근로소득 및 세액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최적의 전략은 가족 구성원의 연령, 소득, 소득공제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되어야 합니다.


2️⃣ 신용카드 전략


1) 신용카드 사용액 분배


    📌 소득이 높은 측으로 신용카드 사용금액을 몰아주는 것이 유리.
    📌 두 부부의 소득이 비슷할 경우, 적절히 양쪽에 배분하여 세액공제 효과 극대화.

 

2) 세액공제 효과

    📌 기본적으로 소득이 많은 측이 '종합소득 과세표준'이 높아 세액공제 효과가 큼.
    📌 두 사람의 소득이 비슷하다면 양쪽에 골고루 분배하여 세액공제 효과 극대화.

 

3) 부양가족의 경우

    📌 생계를 같이하는 부양가족의 경우 신용카드 사용금액을 근로자 본인의 소득공제 범위에 포함 가능.
    📌 만 60세 미만 부모님 및 만 20세 초과 자녀의 사용금액도 공제 대상.

 

☑️  전략의 중요성


    📌 소득이 높은 부부의 경우 세액공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신용카드 사용액을 누진세율을 고려하여 분배해야 함.
    📌 생계를 같이하는 부양가족의 경우 해당 가족 구성원의 사용금액도 세액공제에 활용 가능.
    📌 정확한 세액공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가족 구성원 간의 소득 및 생계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


3️⃣ 보험료 전략

 

1) 보험료 납부자가 근로소득자 본인일 때

    📌 피보험자가 연령과 소득 조건을 충족하면 기본공제 대상자로 세액공제 가능.
    📌 근로자 본인이 계약자이고, 피보험자가 기본공제 대상자인 경우 세액공제 가능.

 

2) 부부 공동 계약일 때

    📌 근로자 본인이 계약자이고, 피보험자가 부부인 경우 연말정산 시 보험료 세액공제 가능.

 

3) 근로자 본인이 계약자이며 주피보험자가 본인, 종피보험자가 자녀일 때

    📌 계약 당시 주피보험자가 근로자 본인, 종피보험자가 배우자의 자녀인 경우 세액공제 가능.
    📌 주피보험자와 종피보험자가 기본공제 대상자여야 함.

 

☑️ 주의사항


    📌 피보험자가 배우자나 자녀이지만 기본공제 대상자가 아닌 경우 세액공제 불가능.
    📌 본인이 계약자이며 피보험자가 배우자인 경우 서로가 기본공제 대상자가 아니라면 세액공제 불가능.

 

☑️ 전략적 팁


    📌 부부 중 한 명이 기본공제 대상자이고, 다른 한 명이 보험료 납부자인 경우 보험료 세액공제 효과 극대화 가능.
    📌 각종 조건을 고려하여 가족 구성원 간의 보험료 납부 및 세액공제를 전략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중요.


4️⃣ 의료비 전략

 

1) 의료비 세액공제 대상

    📌 부양가족에 대한 기본공제를 받는 근로자가 부양가족을 위해 직접 지출한 의료비에 대해 세액공제 가능.
    📌 기본공제 대상자의 연령과 소득에 제한이 없으므로 소득이 있는 배우자가 지출한 의료비도 세액공제 가능.

 

2) 세액공제 한도 및 비용 초과 부분 적용

    📌 의료비 세액공제는 총급여액의 3%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 공제.
    📌 맞벌이 부부의 경우 의료비를 세액공제에 활용하기 위해 소득이 적은 근로자가 지출하는 것이 유리.

 

3) 부부 중 한 명이 의료비를 실제로 부담하도록 조정

    📌 예를 들어, 남편이 부양가족에 대한 기본공제를 받는 경우 부인이 의료비를 지출하도록 조정.
    📌 부인이 지출한 의료비를 남편이 세액공제에 활용할 수 있게 됨.

 

4) 세액공제 대상금액 한도 및 세액공제율

    📌 의료비 세액공제 대상금액 한도와 세액공제율은 정부 정책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현재의 기준에 따라 의료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범위를 확인하고 계획 수립.

 

☑️ 전략적 팁


    📌 의료비를 지출하는 근로자의 총급여액이 낮을수록 세액공제 효과가 높아짐.
    📌 부부 간의 의료비 지출을 조정하여 세액공제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 세우기.


5️⃣ 교육비 전략

 

1) 교육비 세액공제 대상

    📌 근로자 본인 및 기본공제 대상자(직계비속 제외)가 교육비를 지출한 경우에 세액공제 가능.
    📌 기본공제 대상자는 연령 제한 없음.

 

2) 세액공제 대상과 금액

    📌 근로자 본인의 경우 지출한 교육비 전액을 공제받을 수 있음.
    📌 기본공제 대상자의 경우 아래와 같은 한도가 적용됨:
        💡 초등학교 취학 전 아동, 초중고등학생: 1명당 연 300만원 한도
        💡 대학생: 1명당 연 900만원 한도
        💡 대학원생: 공제 대상 아님
        💡 장애인 특수교육비(직계존속 포함): 전액

 

3) 공제 방법

    📌 교육비가 발생한 세액공제 대상 기간 동안, 지출 금액의 15%를 종합소득 산출세액에서 공제.

 

☑️ 전략적 팁

 

    📌 소득이 높은 쪽이 교육비를 부담하고, 소득이 낮은 쪽이 해당 교육비를 세액공제에 활용하는 전략이 유리할 수 있음.
    📌 근로자와 부양가족 간의 교육비 부담을 조절하여 최대한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계획 세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