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주택연금 총정리: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by KlayLee 2024. 5. 28.

주택연금 총정리: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주택연금 총정리

 노후가 대비되어 있지 않다면 걱정이 태산입니다. 이런 분들은 주택연금을 한번쯤 생각해 보니는데요, 주택연금에 대해서 간단하고 쉽게 그리고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주택 연금 계산 및 신청방법

🏡 주택연금 가이드 🏡 주택연금은 주택을 소유한 노후 가구들에게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주택을 보유한 사람이 그 주택을 담보로 매월 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lbtglhs79.tistory.com



1️⃣ 주택연금이란?

  •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시행하는 제도로, 주택 소유자가 집을 담보로 제공하고, 내 집에 계속 살면서 평생 매월 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국가가 보증합니다.
  • 집 한 채만 있고 수입이 없는 노령 가구에게 평생 필수 노후 생활비를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되었습니다.

2️⃣ 주택연금 가입 대상

  • 부부 중 한 명이라도 만 55세 이상이고, 공시가격 12억 원 이하의 주택 또는 주거 용도의 오피스텔을 소유한 분
  • 다주택자인 경우에도 부부 소유주택의 공시지가를 합산한 가격이 12억 원 이하이면 신청 가능

3️⃣ 주택연금 가입 시 혜택

  • 평생 거주: 가입자와 배우자 모두 지금 살고 있는 집에서 계속 살 수 있음
  • 국가 평생 지급: 부부 중 한 분이 돌아가신 경우에도 연금 감액 없이 100% 동일 금액 지급
  • 상속 가능: 사망 후 주택을 처분하면 정산, 연금 수령액 등이 집값을 초과해도 상속인에게 청구하지 않음, 반대로 집값이 남으면 상속인에게 돌아감

4️⃣ 주택연금 지급액

단위는 "만원" 입니다.

연령 주택가격
1억원 2억원 3억원 4억원 5억원 6억원 7억원 8억원 9억원 10억원 11억원 12억원
50세 10 21 31 42 53 63 74 85 95 106 117 127
55세 14 29 43 58 72 87 101 116 131 145 160 174
60세 19 39 59 79 98 118 138 158 178 197 217 237
65세 24 48 72 96 120 144 168 192 216 240 264 288
70세 29 59 88 118 147 177 206 236 266 295 325 327
75세 37 74 111 148 185 222 259 296 333 353 353 353
80세 47 94 142 189 237 284 332 379 393 393 393 393
  • 예시
    • 일반주택(종신 지급방식, 정액형)의 경우 공시가격 10억 원 주택을 보유한 경우 65세가 매월 받을 수 있는 금액은 240만 원
    • 70세(부부 중 연소자 기준)의 경우 3억 원 주택을 기준으로 보면, 매월 88만 6천 원 받음

5️⃣ 최근 주택연금 활성화 방안

  • 우대형 주택연금 가입 대상 및 혜택 확대
    • 기압 대상: 주택가격 2억 원 미만에서 2억 5천만 미만으로 확대
    • 일시금 인출 한도: 지급 한도의 45%→50%로 확대
  • 실거주 예외 사유 확대: 실버타운 입주 노인도 주택연금 지속 수령 가능


7️⃣ 추가정보

  • 2024년 5월 현재, 주택연금 가입 대상 및 혜택이 확대되었습니다.
  • 주택연금에 가입하고 싶으신 분은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거나, 가까운 주택금융공사 지점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